🌐

대한불교관음종은 부처님의 팔만사천대장경의 모든 가르침에 지극히 귀의합니다.


불교의 경전은 중생의 근기(根機:인드리야-indriya)에 따라 그 이해를 달리 할 수 있습니다. 본 종단은 대각국사의천 종조 이후 경운선사께서 그 맥을 이으셨고, 개산조 태허조사스님께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의지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이끌어 주셨습니다. 조사스님께서는 화엄경(華嚴經)의 기조 위에 묘법연화경(법화경:法華經)을 꽃피울 때 우리는 모두 부처(일불승:一佛乘)가 될 수 있다는 말씀으로 종도들을 이끌어 주셨습니다. 한국불교는 화엄경의 가르침에 의해 화려한 수천가지의 꽃으로 장엄하여 이 땅에 뿌리를 내렸고, 본 종단은 부처님 열반 전 최후의 교시인 법화경을 의지해서 소의경전으로 삼아 깨달음(흰 연꽃-백연:白蓮)을 얻고자 정진하고 있습니다.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법화경을 설하신 이유 : 제법 실상의 불지견(佛智見)을 개시오입(開示悟入)하고자 함


부처님은 화엄, 아함, 방등, 반야 등 대소승의 법문을 설하여 중생들의 성품과 근기가 점차 성숙하였기 때문에 바야흐로 부처님 의 본뜻을 밝힐 시절과 인연이 도래하였다.
그리하여 영취산에서 한 줄기 광명을 내어 지혜의 경계를 드러내 삼세제불(三世諸佛)이 출현한 큰 뜻을 설하고, 제법의 바른 실상(實相)을 밝혀서 사생(四生), 육도(六道), 이승(二乘), 삼승(三乘)의 모든 중생이 나아갈 길을 밝히셨다. 이는 그 동안 설한 모든 불법을 갈무리하는 일대 광장설(廣長舌)이다. 이 법문이 바로 대승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다. 이는 보살을 가르 치는 법[敎菩薩法]이며, 성불하는 일불승의 원만한 가르침[圓敎]이다. 과거 제불이 모두 이 법을 듣고 불도를 성취하였고, 삼세제불이 모두 이 법을 설하여 무량한 중생을 불도에 들게 하는 모든 부처님의 정법이다.
오욕(五欲)에 물들어 오탁악세에 빠진 중생들로 하여금 불지견(佛智見)을 열어(開) 보이고(示) 깨달아(悟) 들어오게(入) 하고자 함이다.

부처님께서 무량의처삼매에 드시니 하늘에서 가지가지 꽃이 뿌려지고 땅이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다. 큰 광명을 놓으시는 등 헤아릴 수 없는 신통변화를 나타내시니 미륵보살이 대중을 대표하여 문수보살에게 그러한 신통변화가 나타난 까닭을 물었다. 문수는 과거의 부처님이 <법화경(法華經)>을 설할 때 반드시 이러한 상서가 나타났는데 이제 또 그러하니 <법화경>을 설하실 게 틀림없다고 대답한다.
‘서품’에 나오는 이 말은 과거의 부처님이 항상 <법화경>을 설해 왔다 하여 이 경의 특별함을 강조하고 있다.

<법화경>은 <묘법연화경>을 줄여 부르는 말로 범어 이름은 삿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Sadharmapundarika-sutra)이다. 연꽃이 더러운 물에 자라되 오염되지 않는 처염상정(處染常淨)의 뜻을 묘법이라 하여 붙인 말이다. 한역본에 7가지가 있으나 구마라습역의 <묘법연화경>이 가장 널리 유통되었으며, 달마급다의 역은 <첨품묘법연화경>으로 제명되었고, 또 법호가 번역한 <정법화경>도 유명하여 이의 3본이 번역이 잘 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예로부터 “뭇 별 가운데 달이 으뜸이듯이 수많은 경전 가운데 법화경이 으뜸”이라고 한 경의 말을 인용, 이 경이 최고의 경전 이라고 주장해 오기도 했다. 이 경을 의지하여 생긴 종파도 여러 개며 중국불교사상 유명한 천태지의(天台智)대사의 천태교관은 <법화경>을 연구하여 수립한 것이다. <화엄경>과 쌍벽을 이루어 <법화경>은 천태교학의 체계를 성립시키고 <화엄경>은 화엄교학의 체계를 수립하여 중국 교학사상 가장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대승불교 경전에서 화엄경과 쌍벽을 이루는 법화경의 구성 적문(迹門).본문(本門)으로 구성…총 28품


28품으로 되어 있는 전체 경문의 전반 후반을 적문(迹門)과 본문(本門)으로 구분하여 제법 실상의 이치를 천명하였는데 적문에 서는 ‘방편품’이 가장 중요하고 본문은 ‘여래수량품’이 가장 중요한 품이다. <법화경>을 실교법문(實敎法門)이라 말하면서 삼승 (三乘)의 방편으로 설한 권교(權敎)를 모아 구경 일불승(一佛乘)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으로 대의를 삼는다. 이를 회삼승귀일승 (會三乘歸一乘)이라 말해왔다.
‘방편품’에서 부처님의 일대사 인연을 밝힌 대목과 제법실상을 밝힌 10여시설(十如是說)은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

“사리불이여, 모든 부처님들은 일대사 인연 때문에 세상에 출현하시느니라. 중생들로 하여금 여래의 지견을 열어주고, 보여주고, 깨닫게 해주고, 들어오게 해주기 위하여 세상에 출현하시느니라.”

10여시(十如是)설을 근거로 하여 천태 지자대사는 일념삼천설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여래수량품’에서 부처님은 이미 구원겁 전에 성불하셨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내가 정반왕궁에 태어나 출가하고 수도하여 도를 이루었다고 알고 있지만 나는 이미 구원겁 전에 성불하였느니라.” 본래성불의 이 이치를 바로 아는 것이 여래의 지견을 얻는 것이요, 이것이 바로 일승이라는 것이다.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하여 진정으로 바라는 바는 중생이 무상보리를 이루는 것이다. 그 외에 어떤 것도 구경목적이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성불의 길이 어디에 있는가? 천차별 만차별의 방편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경의 사구게(四句偈)에서 밝혀 놓은 실상법문을 깨닫는 것이다.

“천지 만유는 본래부터 항상 적멸한 모습 그대로다.(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불자가 도를 닦고 나면 오는 세상에 부처가 되리라.(佛子行道已 來世得作佛)”

제법이 본래 적멸상이란 이 말씀이 일승의 묘법이다. 결국 고요한 적멸의 모습 그 하나를 보여 주신 것이다.

부처님의 본래 정신은 일반 민중을 구제하는 것이고 그 정신을 민중 가운데 살려가는 것이 이상이었다. 그러므로 부처님에 대한 절대적 찬양이 생기게 되고 신앙이 두터워 갔던 것이다. 이러한 사상에서 전문가에 의한 출가 불교를 소승이라고 비판하고 일반 민중을 지도하는 새로운 불교를 대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래서 소승인 성문과 연각은 성불하지 못한다고 비난했던 것이다. 그러나 돌이켜 생각해 볼 때 이처럼 소승인을 제외해 버리는 것도 또한 본래의 부처님의 뜻과는 역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도 일어난다. 이런 생각을 대표한 것이 법화경이다. 성문 연각을 포함한 모두가 성불한다고 하는 것이 본래 불교라는 말이다. 그래서 모두가 성불한다는 일승사상이 나타나 2승, 3승이라는 구별을 넘어서 통일된 입장에서 깨달음을 구해가자는 것이다.

법화경 서품에서 제9분 ‘수학무학인기품’까지는 성문이 등장하여 지금까지의 가르침은 과정의 가르침이고 참된 가르침은 누구나 성불하는 일불승의 가르침이라고 하였다. 거기에는 성문제자들을 차례로 불러 이제까지의 성문수행에서 보살 수행을 함으로써 부처가 된다고 보증을 하였다. 수기란 부처님이 미리 성불을 보증하는 것으로서 부처님과 제자 사이에 절대적 신뢰가 없으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 사실은 성불의 근본이라고 생각되어온 지혜를 얻는 일 이 신앙의 확립이라는 형태로 바뀐 것을 보이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성문 성불이라는 것이 법화경의 중심사상의 하나라고 말하게 되고 부처님이 모든 사람을 성불시킨다는 자비심과 그것을 절대적 신뢰하는 제자와의 마음의 교통이 그 바탕에 있어서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다음에 부처님의 대자비에 근거하여 모든 사람이 성불하는 가르침을 어떻게 사바세계에 넓혀 가느냐 하는 것이 하나의 안목으로 되어 있어 부처님의 사자로서 사바세계에 그 가르침을 넓혀 가는 보살의 활약상을 반복하여 말씀하고 있다.

다시 나아가 ‘견보탑품’에는 부처님께서 성문이 성불하신다는 것을 말씀하시자 별안간 땅에서 거대한 탑이 솟아 오른 것을 말하고 있다. 그 탑 가운데 다보여래가 계셔서 석가 부처님의 말씀은 진실이라고 큰 목소리로 증명하신다. 다보여래는 과거 먼 옛날부터 좌선하고 계시는데 이것은 영원한 부처님 법신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이 다보여래의 권을 따라 석가 부처님이 그 곁에 앉으시니 이것을 이불병좌라 한다. 이것은 영원한 부처님과 현세에 인격적으로 완성하여 성불한 사람이 하나가 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해석되고 있다. 즉 영원한 이법을 의미하는 법신과 우리들과 함께 살며 자기완성을 한 석가모니불이 된 사람이 일체가 됐다는 것으로서 이것은 또한 석가불이 진리의 모습으로서 이 세계에 오신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가르침은 「견보탑품」에서 「종지용지품」,「여래수량품」에로 이어져 설명되고 있다. 

구분설주/유통
품수권수
법화경적문서분

1. 서품1
정종분법설주정설2. 방편품
영해3. 비유품2
술성
수기
비설주정설
영해4. 신해품
술성5. 약초유품3
수기6. 수기품
인연설주정설7. 화성유품
수기8. 오백제자수기품4
9. 수학무학인기품
유통분

10. 법사품
11. 견보탐품
12. 제바달다품
13. 권지품
14. 안락행품5
본문서분

15. 종지용출품
정종분

16. 여래수량품

17. 분별공덕품
유통분공덕유통
18. 수희공덕품6
19. 법사공덕품
20. 상불경보살품
부촉유통
21. 여래신력품
22. 촉루품
23. 약왕보살본사품
24. 묘음보살품7
25. 관세음보살보문품
26. 다라니품
27. 묘장엄왕본사품
자행유통
28. 보현보살권발품

우리나라의 법화경 전래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중국의 스님 순도에 의해 불교가 전래된 뒤 고구려의 혜자스님이 일본에 건너가 당시 일본왕의 태자였던 성덕에게 법화경을 가르쳤으며, 백제의 현광대사는 중국의 남악혜사대사로부터 법화경안락행문을 전수 받고 당시 백제 땅이었던 웅주 옹산에서 법화경을 폈고 또 신라의 원효대사는 법화경종요를 지어내고 會三歸一一佛乘(회삼귀일일불승) 사상으로 삼국을 통일하는 원동력이 되게 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유교를 받들고 불교를 배척하기도 했으나, 천태종의 조구화상을 국사로 삼았으며, 세조는 간경도감을 두어 한글로 법화경을 인출하면서 신미대사와 함께 직접 법화경을 언해하 였다. 한편 생육신의 한사람이었던 매월당 김시습은 법화경별찬을 지었는데 이것은 제1서품부터 제28품까지 모두를 찬양한 것이다. 특히 우리가 간과 할 수 없는 사실은 고려 고종 23년 (1236-1876)부터 조선조 고종 13년까지 약 640년간에 제일 많이 인출된 경전이 법화경이라는 사실이다. 이처럼 법호경이 수없이 번역되고 수지. 독송. 해설. 서사 되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법화경이 삼승을 모아서 일승으로 돌아간다는 것과 석가모니께서 가야성을 떠나 6년 고행 끝에 도를 얻으신 것이 아니라 구원한 옛적부터 이미 부처님이었다는 사실 때문이다. 또 석가여래께서 이 세상에 오신 것은 우리 일체 중생이 모두 다 법화경 으로 성불할 수 있다는 증거를 보여 주시기 위해서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겨리 내용에 따라 상하만민이 신앙으로 융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종파를 가리지 않고 대승경전인 화경을 수지 독송하고 있다.

법화경은 이처럼 우리 민족의 얼 속에 깊이 뿌리를 내린 불교사상의 정수라 할 수 있다.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화엄경은 어떤 경전인가?


《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성불 후 3․7일 동안 설법하신 최초의 경전이며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표명하고 있는 경전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의 약칭으로 각 장이 독립된 경전으로 되어 있던 것을 4세기경에 집대성했다.
대승경전 중에서도 교학적·사상적으로 불교의 핵심을 가장 깊게 담고 있다.

한역에는 6본이 있으나 지금은 3본만 전해 오고 있다. 《60화엄》《80화엄》《40화엄》이 그것이다.
《60화엄》418∼420년에 중국 동진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覺賢)가,《80화엄》은 695∼699년에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40화엄》은 795∼798년에 당나라 반야(般若)가 각각 번역했다.
이 중《40화엄》은《60화엄》과《80화엄》속에 있는 마지막 장인 <입법계품>에 해당한다. 따라서《60화엄》과《80화엄》이 한역의 완본이라 할 수 있다.

《60화엄》은 7처 8회 34품,《80화엄》은 7처 9회 40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處)와 회(會)란 경을 설한 장소와 모임의 횟수를 뜻한다. 우리는《80화엄》은 7처 9회 40품을 중심으로 신행의 근본을 삼는데, 마지막 입법계품을 분리해서 7처 9회 39품으로 말하기도 한다.

7처 9회 40품[七처 九회 四十품]의 구성


화엄경은, 설법된 장소가 7곳이고 설법의 횟수는 9번이며 내용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 부분(品)은 39품인데, 별도로 독립되어 읽혀지고 있는 [보현행원품]을 곁들여서 총 40품으로 정리 될 수 있다.

장소(處)
회(會)
품명(品名)
설법주(說法主)
내용 요약
보리도량
제1회
1. 세주묘엄품
보현보살
비로자나(毘盧遮那)
의 성불(成佛)과정
부처님
세계
2. 여래현상품
3. 보현삼매품
4. 세계성취품
5. 화장세계품
6. 비로자나품
보광명전
제2회
7. 여래명호품
문수보살
믿음(信)을 설함
보살
성불과정
8. 사성제품
9. 광명각품
10.보살문명품
11.정행품
12.현수품
도리천궁
제3회
13.승수미산정품
결집인
십주
보살의
성불과정
14.수미정상게찬품
15.십주품
법혜보살
16.범행품
17.초발심공덕품
18.명법품
야마천궁
제4회
19.승야마천궁품
결집인
십행
20.야마천궁게찬품
21.십행품
공덕림보살
22.십무진장품
도솔천궁
제5회
23.승도솔천궁품
결집인
십회향
24.도솔천궁게찬품
25.십회향품
금강당보살
타화자재
천궁
제6회
26.십지품
금강장보살
십지
보광명전
제7회
27.십정품
보현보살
등각. 묘각
28.십통품
29.십인품
30.아승지품
세존
31.여래수량품
심왕보살
32.보살주처품
33.불부사의법품
연화장보살
34.여래십신상해품
보현보살
35.여래수호광명공덕품
세존
36.보현행품
보현보살
37.여래출현품
보광명전
제8회
38.이세간품
보살도 총괄

급고독원
제9회
39.입법계품
선재(善財)라는
한 평범한 중생의 성불과정 
40.보현행원품
최종 결론- 보살행 제시 

제1회 보리도량에서의 설주는 보현보살이다. 삼매에 입.출정(入出定)한 후 부처님세계(佛自證境)를 설한다.
제2회에서는 문수보살이 信을 설하고,
제3회는 법혜보살이 십주(十住)법문을,
제4회는 공덕림보살이 십행(十行)법문을,
제5회는 금강당보살이 십회향(十回向)을,
제6회는 금강장보살이 십지(十地)법문을,
제7회는 등각과 묘각에 해당하는 정각(正覺)의 세계를,
제8회는 보살도를 총괄하고 있다.
제9회는 전편 8가지 회와 대비하여 화엄경 후편으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편에서 보인 불자증경(佛自證境)과 보살도 및 구경지를 선재동자가 재현한다. 화엄경은 전체적으로 보현보살(佛自證境) → 문수보살(信) → 제보살(住.行.向.地) → 보현보살을 통하여 설해지고 있다.

화엄경은 또한 신, 해, 행, 증의 가르침을 설하신 기준으로 나누어서 정리해 볼 수 있다.

신(信): 擧果勸樂生信分
제1회
궁극의 결과인 부처님의 세계를 보여주고 사람들로 하여금 환희심과 信心을 내게하는 부분. 비로자나 부처님의 원만하고 청정한 과보가 잘 나타남.
해(解): 修因契果生解分
제2회~제7회
결과를 보고 환희심과 신심이 나면, 그 결과의 원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얻으려는 수승한 理解가 나게 되는 부분. 10신,10주,10행,10회향,10지의 50단계의 인행(因行)을 닦아서 부처님의 결과를 이루는 일을 보여준다.
행(行): 託法進修成行分
제8회
修行하는 길과 방법을 잘 알고 그 방법에 의지하여 나아가면, 수행이 모두 원만성취 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여러 단계의 수행하는 방법에 근거하여 2천 가지의 원인을 닦아서 수행이 성취되는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증(證): 依人證入成德分
제9회
선재동자라는 평범한 인물이, 깨달음을 이루고 부처님의 만행만덕(萬行萬德)을 성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선재동자가 53인의 선지식을 찾아서, 그들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52단계로 점차 證得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보현행원품은, 화엄경을 읽는 사람들도 그와 같은 경지에 이르러 가려면, 열 가지의 덕목을 실천하라고 권하는 부분. 보현 십대행원(十大行願).

화엄경을 뜻에 따라서 다섯 개의 원인과 결과(五周因果)로 나누기도 한다.

五周因果
품명(品名)
所信因果周1.세주묘엄품 2.여래현상품 3.보현삼매품 4.세계성취품 5.화장세계품 6.비로자나품
差別因果周7.여래명호품 8.사성제품 9.광명각품 10.보살문명품 11.정행품 12.현수품 13.승수미산정품 14.수미정상게찬품 15.십주품 16.범행품 17.초발심공덕품 18.명법품 19.승야마천궁품 20.야마천궁게찬품 21.십행품 22.십무진장품 23.승도솔천궁품 24.도솔천궁게찬품 25.십회향품 26.십지품 27.십정품 28.십통품 29.십인품 30.아승지품 31.여래수량품 32.보살주처품 33.불부사의법품 34.여래십신상해품 35.여래수호광명공덕품
平等因果周36.보현행품 37.여래출현품
成行因果周38.이세간품
證入因果周39.입법계품

Ⅰ) 제1회에서 처음의 세주묘엄품은 화엄경을 설하게 되는 인연을 나타낸 서문이고, 두 번째 여래현상품에서 다섯 번째 화장세계품까지는 비로자나불의 과상(果上)의 덕을 말하였다. 이어서, 여섯 번쨰 비로자나품에서는 옛적에 닦던 인행을 말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信心을 일으키게 하므로,이 부분을 <소신인과(所信因果)>라 한다.


Ⅱ) 여래명호품에서 보살주처품까지는 五十위의 因行이 差別한 것을 말하였고, 그 다음의 불부사의법품과 여래십신상해품과 여래수호광명공덕품에서는 부처님 果上의 三덕이 차별한 모양을 말 하였으므로, 이것을 <차별인과(差別因果)>라 한다.


Ⅲ) 보현행품에서는 보현의 원만한 인행을 말하고, 여래출현품에서는 비로자나불의 원만한 과상을 말하였는데, 앞에 있는 差別因果의 모양을 융통하되, 因은 반드시 果를 포섭하고 果는 반드시 因을 포섭하는 것이어서, 因과 果가 서로 融通하여 둘이 아닌 것을 보이었으므로 <평등인과(平等因果)>라 한다.


Ⅳ) 이세간품에서는 처음에 二천의 修行하는 법을 말하여 인행을 밝히고, 다음에는 여덟가지의 성불하는 큰 작용을 말하여 果位의 모양을 말하였으므로, <수행인과(修行因果)>라한다.


Ⅴ) 입법계품에서는 처음에 부처님의 自由自在한 作用을 말하여 증득하는 과상을 보이었고, 다음에는 선재동자가 선지식을 방문하면서 인행을 닦아 법계의 법문에 들어가는 일을 말하였으므로, 이것을 <증득인과(證得因果)>라 한다.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내용과 깨달음을 성취한 부처님의 광대한 공덕에 대해 설한 경전입니다. 따라서 화엄경의 전체적인 주제는 한마디로 여래의 해탈세계와 보살의 실천으로 요약됩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은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으로 표현됩니다. 이 뜻은 '비할데 없이 가장 높고 올바르며 보편적인 깨달음'이란 뜻입니다. 여래가 깨달으신 광대한 세계는 범부 중생들이 이해 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세계입니다. 그래서 화엄경에서는 이 해탈의 세계를 '부사의해탈경계(不思議解脫境界)'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불가사의한 해탈의 세계에 대한 설명이 화엄경의 첫 번째 주제입니다. 그 다음은 이처럼 불가사의한 해탈의 세계를 구현해 가려는 보살의 광대한 실천(普賢行願)이 두 번째 주제입니다.

여래가 깨달아 들어간 불가사의한 해탈경계를 설명하고 그 세계가 얼마나 좋은 것인가를 보여준 뒤 고통 속에 살고 있는 뭇 중생들을 이 해탈경계로 인도하려는 보살의 실천이 화엄경의 전체적인 주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3가길 31(숭인동)

재단법인 대한불교관음종
T.02-763-0054 F.02-763-5851 

Copyright ⓒ 대한불교관음종. All rights reserved.